목록STUDYING (155)
MY MEMO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rCYzW6otGyQ 환경을 제대로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이 동영상을 보면 전체적으로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알 수 있다
뒷북.. 그것도 엄청난 뒷북이다..ㅋㅋㅋㅋㅋ 아주 예전에 유행하던 건데 배경화면 관련 자료를 찾아보다가 갑자기 땡겨서 설치하게 되었다 Rainmeter를 설치한 이후 Javis 테마를 넣어준다 (문서 -> Rainmeter -> Skins -> illustro) Rainmeter에서 오른쪽 클릭을 하면 스킨관리가 나온다 스킨관리 아래에 새로고침을 누르면 새로 넣은 파일이 들어간다 이후 추가를 해주고 움직여주면 바탕화면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cpu를 너무 잡아먹는다..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일주일만 하려고 한다ㅋㅋㅋㅋㅋㅋㅋ 일주일동안 자비스야 내 노트북을 부탁해!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Ryxew9cgkZA&t=147s 1. Metroframework를 설치한 후 코드를 이렇게 변경해준다 (Form1) 2. 그럼 이렇게 예쁘게 변경된다 이후 Student로 변경하려면 속성에 가서 아래쪽의 text를 변경하면 된다 3. Metro tile을 넣는다 4. Grid를 넣어준다. 5. Tile한 개씩 text를 변경해준다. (Tile의 색을 변경해주려면 Customcolor를 true로 변경해주고 색을 변경해준다) 6. 이후 함수 이름을 변경한다 (위의 text를 변경해주면 된다) Student Info를 새로 만들어보자 1. 아래와 같이 새로운 winform을 넣어준다 (처음에 만들었던 것 처럼) 2. 이후 코드를 이렇게 추가..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FTEkw2VQuHk&t=86s nuget manager를 설치해야한다 1. 도구 -> 확장 및 업데이트 2. 온라인 -> nuget 검색후 nuget package manager 설치 그 다음 metro ui를 설치한다 (metro ui설치는 새로운 패키지를 만들때마다 항상 해줘야 한다) 1. 도구 -> NuGet 패키지 관리자 -> 솔루션 NuGet 패키지 관리 2. MetroMordernUI install 이후 도구에 추가를 해줘야한다 (이건 매번 해주지 않아도 된다) 1. 탭을 추가해준다 2. 추가해준 탭 위에 오른쪽 클릭을 한 후 항목 선택을 누른다 3.아래 사진의 파일 경로를 보고 따라 들어가서 dll파일을 설치해준다 (pack..
1. chrome://settings/content : 사이트에 들어간다. 2. “플래시”에 들어간다 3. Flash를 실행하도록 허용한다
올리기 전에 서버 setting한 tomcat 과 jdk 버전을 꼭꼭 확인하자그리고 tomcat에 jdk가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홧팅.. SERVER에 web hosting을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이지만 war파일로 배포를 해보려고 한다war파일은 Spring이며 server에 올리면 자동으로 tomcat이 풀어준다고 한다 요약1. war파일 만들기2. centos7 yum으로 install시 /var/lib/tomcat/webapps 안에 war파일을 넣는다.3. server.xml을 수정해준다.4. webapps와 onnuri.war의 chmod 777를 실행한다. (굳이 하지 않아도 괜찮음)5. systemctl restart tomcat으로 재시작하면 war파일이 풀린다 1. 일단 ec..
tomcat apache 설치 및 연동 방법 : http://cionman.tistory.com/16 (가장 깔끔히 정리되어있음) mysql 설치 방법 sudo yum -y remove mariadb-libs : 일단 mariadb 제거 -> centos7에서는 mariadb 가 설치되어있다고 한다. sudo yum install http://dev.mysql.com/get/mysql-community-release-el7-5.noarch.rpm yum repolist : 위에 명령어를 친 이후 list를 보면 mysql이 추가되어있다. sudo yum install mysql-community-server : mysql 설치 service mysql start : mysql 서비스 시작 이후 mysql..
아 서버 너무 어렵다..하지만 나같은 학생에 입문자는 한개만 알면 된다권한! 서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권한!권한을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폴더가 달라진다즉 권한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 192.168.xxx.1 -> 이게 보통 연구 test로 쓰던 ip였는데 그것이 보편화가 되어 공유기가 되었다. 10.~으로 시작하는 것이 실제 기업이나 대학에서 쓰는 사설 IP이다 대학에서 주는 서버는 대학에서 포트 방화벽을 풀지 않는이상 할당받은 서버에서 방화벽을 풀더라도 실행되지 않는다. 2. 서버 내에서 vm을 깔 수 있는데 PC -> localhost(server) -> vm의 순서이다 localhost가 vm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보통 ip를 할당할때는 PC -> loca..
[설치 과정]jdk -> tomcat -> mysql -> ftp install -> ssh install [아래의 설치 방법]tomcat만 설치 (80port를 열어서 apache를 대체함) => apache를 설치하지 않고도 apach+tomcat 서버 만듬mariadb사용 : mysql과 뿌리는 같지만 일부분이 다름 이유)tomcat만 설치해도 80포트로 접속이 가능왜? open jdk가 자동으로 설치되기 때문 open jdk란? opensource jdk -> jdk를 오픈소스화 한것 -> 완벽하지 않음oracle jdk -> 완벽함 따라서 oracle jdk를 설치해 주는 것이 좋음 ===============================================================..
download page : http://maven.apache.org/download.cgi# 1. binary zip archive : apache-maven-3.5.0-bin.zip 을 다운로드 2. apache-maven-3.5.0-bin 안에 있는 apache-maven-3.5.0을 꺼내서 Maven이라는 폴더에 넣었다. (원래대로 둬도 된다) 3. 시스템 변수 등록 3.1 MAVEN_HOME : maven이 설치된 곳의 주소를 넣음 3.2 Path에 %MAVEN_HOME%\bin 을 설정 4.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