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MO
[ 충돌(collision) ]- 두 개 이상의 키가 동일한 위치로 해싱되는 경우- 대표적인 두 가지 충돌 해결 방법: chaining과 open addressing 출처 : http://blog.naver.com/kts1801/220956548474 Linear Probing의 단점- 해시테이블에서 할당도니 공간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뭉치가 있으면 이것이 점점 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것을 집적화(Clustering)라고 부른다.- 클러스터링이 생기면 데이터 삽입 시 비어 있는 공간을 찾는 시간이 길어진다. 즉, 평균 탐색 시간을 증가시켜 성능을 저하시킴. 출처 : http://blog.naver.com/kts1801/220956548474 [출처] [해싱] - 충돌(Collision), 연쇄..
Heap Sort 개념 : http://priv.tistory.com/61 sort.h #pragma onc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define LEFT_CHILD(x) (2*x + 1) #define RIGHT_CHILD(x) (2*x + 2) #define PARENT(x) ((x-1)/2) #define HEAP_FLAG_ON 1 #define HEAP_FLAG_OFF 0 #define LEFT_CHILD_FLAG_OFF 0 #define LEFT_CHILD_FLAG_ON 1 #define RIGHT_CHILD_FLAG_OFF 0 #define RIGHT_CHILD_FLAG_ON 1 #define HEAP_TREE_COUNT 200 #define N..
+) 출처 : https://blog.weirdx.io/post/3656이진 트리이진 트리(binary tree)는 한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를 말하며 첫 번째 노드는 부모(parent), 자식 노드는 왼쪽(left), 오른쪽(right)라고 불립니다.루트 이진 트리(rooted binary tree)는 모든 노드의 자식이 최대 2개인 루트를 가진 트리입니다.포화 이진 트리(full binary tree)는 모든 노드가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며 모든 레벨이 꽉 찬 트리입니다.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는 포화 이진 트리같이 모든 레벨이 꽉 찬 트리는 아니지만 모든 노드가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입니다.+) 출처 : http://3dmpengines..